문화재청 설명
극락전은 원래 대장전이라고 불렀으나 뒤에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1972년 보수공사 때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지붕을 크게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담긴 상량문을 발견하였는데, 우리 전통 목조건물은 신축 후 지붕을 크게 수리하기까지 통상적으로 100~150년이 지나야 하므로 건립연대를 1200년대 초로 추정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보고 있다.
앞면 3칸, 옆면 4칸 크기에,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으로 꾸몄다. 기둥은 배흘림 형태이며, 처마 내밀기를 길게 하기 위해 기둥 위에 올린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건물 안쪽 가운데에는 불상을 모셔놓고 그 위로 불상을 더욱 엄숙하게 꾸미는 화려한 닫집을 만들었다. 또한, 불상을 모신 불단의 옆면에는 고려 중기 도자기 무늬와 같은 덩굴무늬를 새겨 놓았다. 봉정사 극락전은 통일신라 시대 건축양식을 본받고 있다.
천등산(天登山) 봉정사(鳳停寺)
신라 문무왕 12년(672), 의상 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창건하였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 불렀는데 능인 대사가 젊었을 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던 중 스님의 도력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므로 '천등산'이라 이름하고 그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다. 그 뒤 더욱 수행하던 능인 스님이 도력으로 종이 봉황을 접어서 날리니 이곳에 와서 머물러 산문을 개산하고, 봉황이 머물렀다 하여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를 따서 봉정사라 명명하였다.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 중 하나인 봉정사의 최초 창건은 의상 대사 창건설과 능인 대덕의 창건설 중 대체로 능인 대덕의 창건으로 보고 있으며, 창건 이후의 뚜렷한 역사는 전하지 않으나 참선도량(參禪道場)으로 이름을 떨쳤을 때에는 부속 암자가 9개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6·25 전쟁 때 인민군이 머무르면서 사찰에 있던 경전과 사지(寺誌) 등을 모두 불태워 역사를 자세히 알 수 없다.
고려 태조와 공민왕께서 다녀갔으며 ‘가장 한국적인 것을 보고 싶다’는 요청에 따라 영국 여왕을 안내한 아름다운 사찰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극락전(국보 제15호)을 비롯해 대웅전(국보 제311호), 화엄강당(보물 제448호), 고금당(보물 제449호), 대웅전 후불탱화(보물 제1614호), 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1620호), 영상회 괘불도(보물 제1642호), 아미타설법도(보물 제1643호)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우리는 한동안 부석사 무량수전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로 배웠고 누구나 그렇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1972년에 봉정사 극락전을 해체, 복원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상량문에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극락전의 옥개부를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었는데, 한 건물을 지은 후 중수하게 되는 시기는 대개 150~200년쯤 뒤이니 그렇다면 1363년에서 그만큼 앞에 지었다는 얘기가 되고, 1376년에 중수한 기록을 갖고 있는 부석사 무량수전을 앞선 것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기록으로 중수한 연도를 확인한 것이지, 처음 지은 날짜가 확인된 것은 아니므로 확실히 먼저 지었다고 하기에는 어쩐지 자신 없는 측면도 있어서 부석사 무량수전이나 봉정사 극락전 모두 최고의 목조 건물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기록으로 실제 건축시기를 확실히 아는 최고(最古) 절집은 수덕사 대웅전이다. (1308년 창건)
뿐만 아니라 지난 2000년 2월에는 극락전 옆에 있는 대웅전의 지붕 보수공사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에 ‘宣德十年乙卯八月初一日書’ (선덕 10년 : 1435년, 세종 17년)이라고 적혀있고 新羅代五百之余年至 乙卯年分法堂重倉(신라 시대 창건 이후 500여 년에 이르러 법당을 중창하다)라고 되어있어 대웅전 창건이 1435년 중창 당시보다 500여 년이나 앞섰다는 말이니, 현존 최고의 건물이 극락전에서 다시 대웅전으로 바뀔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는 여론이다. 그리하여 봉정사 대웅전은 2009년 6월 30일 국보 제311호로 승격되었다.
이와 함께 대웅전 내 불단 바닥 우측에서 辛丑支正二十一年 鳳亭寺 啄子造成 上壇有覺澄 化主戒珠 朴宰巨 (지정 21년 : 1361년, 공민왕 10년)에 탁자를 제작, 시주. 시주자 박재거)라고 적힌 묵서명도 확인되어 대웅전 불단이 현존 최고의 목조건물임이 판명되었다.
그 밖에도 발견된 상량문에는 2층 누각 신축, 단청을 한 시기,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토지, 사찰규모 등을 알려주는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 초 당시 봉정사는 팔만대장경을 보유하고 500여 결(1만여 평)의 논밭에다 안거 스님 100여 명에 75칸의 대찰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야 국내 곳곳에 천년고찰이 한두 곳이 아니니 어느 날 어느 절집 상량문이나 묵서명이 발견되어 또 다른 최고(最古)의 기록을 갱신할지 알 수 없으니 내심 기대해 본다. 아무튼, 2015년 현재 공식 국내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은 지금 소개하려는 국보 제15호 '봉정사 극락전'이다.
극락전(極樂殿) 영역
봉정사는 일주문을 지나 조금 걸어 올라가면 경사진 길에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서 누문(樓門) 만세루(萬世樓)를 지나 주불전인 대웅전 앞에 서게 되는데 극락전은 그 대웅전의 왼쪽에 있다. 대웅전과 극락전, 주전(主殿)을 2개 모신 특이한 구조이다. 대웅전은 만세루와 마주 보며 왼쪽에 화엄강당(華嚴講堂), 오른쪽에 무량해회(無量海會)가 있고 극락전은 왼쪽에 고금당(古金堂), 오른쪽에 무량해회(無量海會)가 있으며 대웅전 앞에 만세루가 있듯이 극락전 앞에 우화루가 있었는데 영산암으로 옮겨 갔다.
대웅전과 마주 보는 곳에는 중문 격인 진여문(眞如門)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철거되어 없으며 오른쪽 무량해회 앞으로 돌아나가는 협문에 진여문(眞如門)이라고 씌어 있다. 대웅전 앞마당은 아무것도 없이 비어 있으나 극락전 앞에는 삼층석탑이 하나 서 있다.
또한, 극락전은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이면서도 매우 소박하고 간결해 보이는데 이는 전체적인 건물의 구조나 목재들의 결구처리 방식이 단순한데서도 느낄 수 있다. 특히 기둥 위에 올린 공포를 보면 옆에 있는 대웅전의 공포와 비교하여 극락전 공포는 꼭 필요한 구성만 갖추었을 뿐 장식적인 부분이 아예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봉정암은 한국 영화사에 길이 빛날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1989년 배용균 감독),’ ‘동승(2003년 주경중 감독)’이 영산암에서 촬영되어 그 유명세를 보탰으니, 그 이후 찾는 발길이 계속 이어진다고 하며,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안동시 등이 나서서 2018년까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한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한다. 부디 좋은 성과를 거두어 모범적인 문화유산으로 길이 보전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