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西安)에서 두 번째 만난 인물은 중국의 4대 미인이자 최고의 요부,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일컬어지는 양귀비이다. 시황제가 전국을 통일한 이래 천 년쯤 지난 후 시안은 당(唐)나라의 수도 장안(長安)이 되었는데 6대 황제 현종은 자신의 며느리였던 절세미인 양옥환(楊玉環)을 강제로 빼앗아 자신의 후궁 귀비(貴妃)로 삼은 후 그녀를 향한 총애가 남달랐다.
그동안 칭송을 받으며 잘 해오던 정치를 멀리하고 여색에 빠진 채 그녀의 혈육과 양아들 등에게 지나친 권세가 집중되니 나라는 도탄에 빠지고 서로 간의 권력다툼으로 한쪽이 군사반란을 일으키니 황제와 함께 몽진 중에 사태의 원흉으로 지목되어 결국은 목을 매 죽고만 여인이다.
양옥환(楊玉環)
719년 당 현종(685~762) 집권 초기, 쓰촨 성에서 태어났으며 하급관리를 지내던 부친 슬하에 아들 없이 세 언니와 함께 살았다. 그러나 부친은 일찍 죽어 숙부 집에서 자라면서 나름대로 교육도 잘 받았으며 특히 기생 출신 하녀에게서 가무도 배웠다고 한다. 양옥환은 친척 양신명의 집 연회에 자주 초대되었는데 그 연회에서 황실 일족들과 친하게 되었으며 그러던 중 현종의 제18황자 李瑁(이모)와 혼인하게 되어 현종의 며느리가 되었다.
당(唐) 현종(玄宗)
양옥환의 시아버지 당나라 6대 황제 현종은 원래 3남으로 적장자가 아니어서 황태자가 되거나 황제에 오를 수 없는 처지였다. 그러나 현종의 할아버지인 3대 황제 고종과 할머니인 측천무후 이후 나약한 황제들의 즉위와 폐위, 복위와 살해가 반복되는 등 혼란한 정국을 해결한 공로로 큰 형의 양보를 받아 황태자가 되었다가 6대 황제로 즉위한 사람이다.
즉, 현종에게는 할머니인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사실은 그 이전에 증조할아버지인 2대 황제 태종의 후궁이었다가 어떻게 되었는지 황태자와 눈이 맞았고 그 황태자가 황제(고종)로 즉위하자 후궁이 되었다가 황후와 다른 비빈들을 모두 처치하고 황후가 된 여인이다. 즉 아버지(태종)의 후궁에서 아들(고종)의 후궁이 되었다가 황후까지 되어 훗날 근친상간의 시비에 말려들게 된 사연이다.
이렇게 황후가 된 측천무후는 남편 고종이 병약해지자 권력을 장악하였으며 자기 아들을 중종으로 즉위시켰다가 폐위시킨 후 다른 아들을 예종으로 즉위시켰지만 역시 폐위시킨 후 마침내는 스스로가 황제가 되어 15년 동안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다가 모반을 일으킨 대신들과 장군들의 강요로 다시 중종을 복위시킨 후 물러났다가 측천무후는 사망하였지만, 이번에는 중종의 황후 위 씨가 제2의 여황제(女皇帝)를 꿈꾸면서 무능한 남편 중종(현종의 큰아버지)을 독살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되자 현종이 군사를 일으켜 큰어머니인 위 황후 일파와 아직도 남아서 권세를 부리던 할머니 측천무후 일파를 모두 소탕하고 물러나 있던 아버지 예종을 다시 복위시킨다. 그러자 큰형이 태자 자리를 현종에게 양보하였으며 2년 후 예종이 사망하자 현종이 즉위하여 당나라의 6대 황제가 된 것이다.
개원의 치(開元의 治)
황제에 오른 현종은 연호를 개원(開元)으로 바꾸고 유능한 관리들을 등용하여 민생 위주의 정치를 베풀었다. 당 태종 이세민이 이룩했던 태평성대에 버금가는 치세로 후세사람들은 당시의 연호를 따서 '개원의 치(開元의 治)'라고 불렀으니 현종은 당나라의 번영과 강성함을 이끌었으나 이후 절세미인, 천하의 요부 양귀비를 만나 몰락과 쇠퇴의 길로 빠져들게 된다.
양옥환(楊玉環)과의 만남
태평성대와 훌륭한 치세에 대한 칭송이 자자하자 현종은 이내 거만하게 된다. 특히 유능한 관리들을 적재적소에 쓰던 그가 어느 때부터인가 아첨과 아부에 귀를 기울이고 직언을 멀리하기 시작하면서 아첨꾼 승상 이임보는 무려 19년간이나 현종을 따돌리고 정치의 모든 것을 자신의 손아귀에 넣고 주물렀지만, 현종은 눈이 멀고 귀가 먹어 보고 듣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총애하는 무혜비(사후 황후로 추존)가 사망하고 현종은 실의에 빠져 무기력하게 되자 환관 고력사(高力士)가 이를 눈치채고 현종과 양옥환의 만남을 주선하게 되는데, 양옥환 부부가 화청지 온천으로 나들이 간다는 것을 알게 된 환관 고력사는 현종을 화청지로 보내 양옥환을 만나게 한다.
현종은 양옥환의 출중한 미모에 반하고 춤과 노래에 흠뻑 빠져 양옥환이 며느리임에도 마음에 들어 하며 이를 어쩌면 좋을지 환관 고력사에게 속을 털어놓는다. 황제의 마음을 알게 된 고력사는 다시 양옥환을 만나 넌지시 그 속을 떠보게 되는데 태자도 아닌 먼 황자의 아내보다는 황제의 애첩을 택하기로 하였는지 이날 이후 양옥환은 현종의 후궁이 된다.
도교(道敎)로의 입문
그러나 세상에는 눈이 있고 귀가 있으며 민심이 살아 있는 법, 아무리 황제라 해도 며느리를 바로 후궁으로 취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할머니 측천무후의 경우 태종의 후궁이었다가 아들 고종의 후궁이 되어 근친상간의 시비가 붙은 것을 알지 않는가? 이럴 때는 또 영악한 간신배들이 실력을 발휘하는 법, 그들은 양옥환을 바로 황궁으로 데려오지 못하고 도교의 사원으로 출가시켜 먼저 남편과 떼어 놓은 후 궁궐에 도교 사원을 지어 양옥환을 이곳의 여관(女冠)으로 불러들이는 수순을 밟는다.
당시 도교에 입문하면 그 이전 현실 세계의 모든 것은 없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었다는데 아마도 이를 노려 며느리의 신분 탈색을 위한 과정이 아니었던가 싶다. 일설에 현종은 충(忠)과 효(孝)를 강조하면서 '나라를 위하여는 충성을 하고 부모에게는 효도하니 좋은 것은 부모에게 바쳐야 하지 않느냐?'는 시(詩)를 지어 아들에게 좋은 것(양옥환)은 아버지 현종에게 바치라는 암시도 했다고 한다.
양옥환, 귀비(貴妃)가 되다
이렇게 양옥환과 현종이 만났을 때가 각각 22세, 57세였다. 이후 현종은 양귀비의 품에서 헤어나지를 못하게 되어 양옥환의 자매들도 모두 국부인으로 책봉하고 사촌오빠 양소에게는 국충(國忠)이라는 이름을 하사하니 그는 간신 이임보나 환관 고력지와 결탁하여 숱한 관직을 독점하고 세도정치의 핵심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렇게 한구석이 썩어가는 줄도 모르는 61세의 현종은 27세의 양옥환을 귀비에 봉하게 되는데 이때 황후가 공석이었으므로 양귀비는 사실상 황후의 자리에 앉은 기쁨을 누리게 되며 어느새 그의 사촌오빠 양국충은 승상의 자리에까지 올라 양귀비 세력이 대당(大唐)제국을 좌지우지하게 된 것이다.
양귀비를 내친 현종, 다시 화해하다
양귀비에게는 세 언니가 있었는데 모두 국부인이라는 높은 지위를 하사받았다. 그런데 그중 셋째 언니 괵국부인 양옥쟁의 미모 또한 뛰어나서 현종이 입궁시키라고 하자 양귀비는 질투심으로 이를 거절하고 언니의 입궁을 방해하다가 결국 내침을 당하게 된다. 궁에서 내쳐진 양귀비는 양국충의 집에 머물었으며, 사촌오빠 양국충과 환관 고력사가 머리를 맞대고 양귀비의 환궁을 모의하여 현종과 양귀비 두 사람이 처음 만났던 화청지에서 다시 만나게 하니 두 사람은 함께 목욕하면서 결국 화해하여 환궁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