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3.01.30 09:32

INSIGHT

2012년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군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그 성공 요인은 무엇일까. 정답은 바로 콘텐츠의 진정성이다. 이는 시니어산업을 관통하는 화두이기도 하다.

해가 바뀌어도 ‘강남스타일’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른다. 2013년 새해를 맞이하며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튜브에서 조회수 11억 회를 돌파했다. 미국 빌보드차트에서도 17주 동안 Top 20 안에 머무르며 롱런하고 있다. ‘강남스타일’의 이러한 예상치 못한 인기에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미국 출장에서도 ‘강남스타일’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심코 켠 TV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싸이의 얼굴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한국 가수가 한국말로 곡을 열창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 한구석에 감동이 밀려왔다. 그것도 전 세계 대중 문화를 선도한다고 하는 미국 땅에서 말이다.

핵심은 콘텐츠의 진정성

싸이의 성공 요인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전문가가 언급한 바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콘텐츠의 진정성을 꼽는다. 콘텐츠의 진정성이란 다른 사람이 되려고 흉내 내지 않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내 경험에 비추어 꾸밈없이 전달하는 것이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매우 독창적이면서도 솔직했다. 꾸밈없이 대중과 소통하고자 했던 가수의 정성이 전 세계 네티즌의 마음을 흔든 것이 아닐까.

강남스타일의 세계적인 성공은 다른 산업에도 많은 귀감이 된다. 최근 성장 속도를 높이고 있는 고령친화산업, 즉 시니어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콘텐츠의 진정성이 가장 절실한 분야 중 하나가 바로 고령친화산업이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은퇴금융시장은 시니어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사 은퇴 설계 서비스의 트렌드는 재무적 해법 제시에 그치지 않고 비재무적인 분야 모두를 아우르는 인생설계로 바뀌고 있다. 사실 금융전문가들의 은퇴 설계는 조금 역설적인 측면이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금융업 종사자 대부분이 아직 은퇴를 경험해보지 못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물론 금융전문가의 재무 설계를 탓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고객의 노후를 설계할 때 자신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인생의 생활 영역까지 조언하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그래서 많은 금융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은퇴연구 전담부서를 앞다투어 개설하고 있는 것 역시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지식과 경험을 기록하다

은퇴설계의 핵심은 콘텐츠에 있다. 여기서 콘텐츠라 함은 은퇴 후의 삶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인생 설계도를 말한다. 건물을 제대로 짓기 위해서는 기초 작업이 튼튼해야 하고 좋은 자재를 써야 한다. 그리고 그 건물에 사는 사람의 취향에 맞춰 창문 하나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 은퇴설계 역시 마찬가지다. 사람마다 원하는 은퇴 이
후의 모습이 다르다. 그 각각에 부합해야 진정한 인생 설계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시니어의 마음을 흔들 수 있는 콘텐츠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의외의 곳에서 우리는 시니어가 직접 남긴 진정성 있는 콘텐츠를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인터넷이다. 수많은 시니어가 이미 그들의 지식과 경험을 디지털화하여 인터넷 공간에 기록하고 있다. 전통적인 인터넷 기록매체인 블로그를 시작으로, 카페·SNS·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그 방식도 다양하다.

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50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가 이미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제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전용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만 50여 개가 넘는다. 시니어 전용 포털 사이트에서는 파워블로거, 리포터를 위한 행사가 연중 수시로 열리고 있다. 한국블로그산업협회가 매년 주최하는 대한민국 100대 블로거 행사에도 몇 년 전부터 나이 지긋한 시니어의 얼굴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해당 협회는 ‘세련미는 조금 떨어지고 투박하지만 삶의 경험이 묻어나는 진솔한 이야기’가 이들 시니어 블로거들을 선정한 배경이라고 이야기한다.

‘노인이 죽으면 도서관 하나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다. 시니어의 지식과 경험을 후대에 남기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담겨있는 말이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상에 이 모든 기록이 차곡차곡 쌓여가고 있다. 이제 이들의 진정성 있는 콘텐츠가 다양한 산업의 서비스와 만나 그 위력을 발휘할 날이 머지않았다.


박은경 대표는 국내 시니어산업의 주도적인 인물. <시니어조선> 공동 발행사인 ㈜시니어파트너즈 대표이자 세계 최대 시니어케어 전문기업 미국 홈인스테드 시니어케어의 한국 마스터 프랜차이즈 ㈜홈인스테드코리아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RESOURCE·(주)시니어파트너즈

조선일보 조선닷컴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