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11.09 16:30

가을이 깊어가고 연말이 다가오면서 나도 모르게 롱펠로우의 ‘인생 예찬 - 때로는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와 같이 부정적인 것에 매달리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릭 핸슨의 「행복 뇌 접속(Hardwiring Happiness)」을 읽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롱펠로우의 시의 일부 내용을 보면 ‘삶에 대한 가치관이 우뚝 서 있어도 때로는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 가슴에 품어온 이루고 싶은 소망들을 때로는 포기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중략).. 흔들린다고 하여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지 마십시오. 가끔은 흔들려 보며 때로는 모든 것들을 놓아봅니다. 그러한 과정 뒤에 오는 소중한 깨달음이 있습니다‘라는 내용이 있다.

우리의 뇌와 신체는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고 이것이 실제 생활 속에서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상태 속에서 자연스럽게 한쪽 면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신경심리학자이며 ‘자기 주도적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자인 릭 핸슨(Rick Hanson)은 자신의 저서 「Hardwiring Happiness」(행복 뇌 접속, 우리말 옮김 김미옥, 2015.6.1)에서 적색모드의 뇌와 녹색모드의 뇌로 설명하면서 우리의 뇌는 부정적인 것에 매달리도록 진화됐지만 이제는 긍정적인 경험에 집중하여 적색뇌를 녹색뇌로 바꾸자고 주장했다.

[시니어 에세이] 나도 모르게 흔들릴 때 행복한 뇌(Brain)로 전환하는 방법

적색모드의 뇌는 때때로 우리가 불안이나 분노를 느끼거나 주의가 흩어지거나 소외되거나 비난받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반응모드인데 이때 우리 뇌에서 적색영역에서 편도체는 해마에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하라는 경보를 보내, 교감 신경계가 투쟁, 도주의 과다 각성을 하게 한다.

반면, 녹색모드 또는 공감모드에서 뇌는 우리 몸이 에너지를 보전하고, 공급받고, 복구하도록 지시한다. 우리가 타고난 휴식 상태인 뇌의 공감모드는 심리치료, 일상의 행복과 효율성, 장기적인 행복, 만족스러운 관계, 최대한의 잠재력 발현을 위한 토대가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은 우울증공화국’이며 ‘한국이 지옥에 가깝고 희망이 없는 사회’라는 ‘헬조선’으로 우리 사회를 보는 부정적인 적색모드의 시각이 있을지라도 사회를 치유하고 회복하려는 녹색모드의 뇌 작용으로 우리는 마음을 통해 뇌를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우리가 때로는 나도 모르게 흔들리거나 우울해질 때, 이러한 상태가 지속하거나 부정적인 것이 나를 압도하여 지배되기 전에 평소에 녹색모드의 뇌훈련을 통해 내면의 회복탄력성을 활용하는 연습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릭 핸슨은 사회생활 속에서 누구나 접할 수 있는 불안감, 좌절감, 우울, 괴로움, 트라우마, 인간관계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4단계의 실천을 권유했다.

첫째, 긍정적인 경험을 가져라.

스스로 긍정적인 경험을 만들어 내라. 이를테면 감사한 일을 생각하거나 친구를 떠올리거나 자신이 성취해 낸 업무를 기억해 낼 수도 있다. 가능한 한 많이 이런 생각들이 정서적으로 가치 있는 경험이 되게 하라.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단지 긍정적인 생각일 뿐이다.

둘째, 긍정적인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라.

5초에서 10초 동안, 혹은 더 오래 긍정적인 경험과 함께 머물러라. 긍정적인 경험에 머무는 느낌에 마음의 문을 열고, 그 경험을 몸으로 느껴 보라. 긍정적인 경험이 마음을 채우게 하라. 그 경험을 즐겨라. 긍정적인 경험이 더욱 강렬해지도록 조용히 격려하라. 그 경험이 개인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당신에게 얼마나 유익하고 영양가 있는 것인지, 당신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라. 실제로 긍정적 경험에 관련된 뉴런(neuron)들은 함께 활성화되어 더 많은 회로를 만든다.

셋째, 긍정적인 경험을 흡수하라.

긍정적인 경험에 빠져들면서 그 경험이 당신에게 온전히 스며드는 것을 의도하고 감지하라. 실제로 그 경험이 마음에 뿌리내리게 하라. 긍정적인 경험이 금가루처럼 당신의 내면에 떨어져 내리는 것을 심상화하라. 긍정적인 경험을 보석처럼 소중히 가슴에 간직하라. 긍정적인 경험이 당신의 일부가 되어, 어디든지 지니고 다닐 수 있는 내면의 힘이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라.

넷째, 긍정적인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를 연결하라.

의식의 전면에 긍정적인 경험의 생생하고 안정적인 감각을 느끼면서, 동시에 의식의 배경에 있는 부정적인 것도 알아차려라. 부정적인 정보에 사로잡히거든 떨쳐 버리고 긍정적인 정보에 집중하라. 긍정적인 정보에 집중하는 기분이 들면, 부정적인 정보도 의식에 두도록 할 수 있다. 원한다면 부정적인 정보는 모조리 내려놓고, 오직 긍정적인 정보에만 머무를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부정적인 정보를 완전하게 몰아내기 위해 다음 시간 동안 몇 차례 오로지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것을 알아차려라. 그러면서 동시에 부정적인 정보와 관련된 중립적인 것을 떠올려 보라. 

조선일보 조선닷컴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