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여행을 떠났다. 씻고 하고 나오니 친구가 책을 읽고 있었다. 그 풍경이 참 생소해 보였다. 책이라면 나도 그 친구 못지않게 좋아하는 터라 내 여고 시절의 반은 학교 도서관에 붙박이처럼 살았다.
그 시절 집에서라고 예외는 아니었다. 책 읽느라 걸핏하면 심부름도 제대로 못 하는 내게 엄마는 ‘책이 밥 먹여 주느냐?’ 아님 ‘나중에 대통령 마누라라도 될 테냐?’라는 이상한 말로 나를 야단치기도 했다.
신혼 시절에도 남편이 월간지 사오는 날엔 잠이 오지 않았다. 자라고 윽박지르는 남편 때문에 잠자리에 들었지만 잠이 올 리가 없었다. 남편이 잠든 기미라도 보이면 살며시 일어나 부엌으로 갔다. 방에서 불을 켜고 책을 볼 수는 없으니까.
희미한 삼십 촉 백열등 아래서 코를 박고 월간지를 읽었다. 겨울바람에 부엌문이 덜컹덜컹거려서 무섭기도 했다. 그러거나 말거나 이때는 그 소리도 무섭지 않았다. 춥고 연탄 냄새 폴폴 나는 부엌 부뚜막에 앉아 책을 읽어도 한없이 좋았디. 그런 내게 누군가 여행지에 책과 뜨개질 중에 무엇을 가져가겠느냐고 묻는다면 지금은 책이 아니라 뜨개질을 선택할 거다.
요즘이야 사라져 가는 뜨개질이지만 우리 어렸을 적만 해도 겨울에는 이 집 저 집에서 엄마들이 뜨개질했다. 아버지 스웨터가 낡으면 풀어서 아들딸 것이 되고 다시 그 스웨터가 낡으면 풀어서 양말이나 벙어리장갑으로 태어났다. 요즘이야 옷들이 지천이라 뜨개질은 세월 속으로 밀려갔지만 그래도 털실 가게들이 가끔 보이는 것을 보면 뜨개질하는 사람들이 있긴 있는 모양이다.
한 달 내내 뜨개질했다. 길 가다 문득 눈에 떠오르는 포근포근한 실이 보이자 무작정 사고 봤다. 집에 와서 대바늘을 꺼내 놓고 나니 무엇을 따야 할지 난감했다. 요즘 누가 뜨개질한 옷을 입나. 사 가지고 오긴 왔는데 이걸 어떡하지 하며 들여다보다가 하루를 넘기고서야 뜨개질을 시작했다. 목도리를 뜨기 시작했다.
가족들 반응도 다양했다. 딸은 "그런 걸…." 하고 며느리는 이런 것을 좋아하는 터라 대환영을 받았다. 손자 녀석은 떠 주었더니 장난감이 됐다. 목에만 하는 게 아니라 머리에다 쓰고 다니고 허리에다 감고 다닌다. 한 달 전에 보고 있었던 책은 펼쳐진 채로 책상 위에서 낮잠을 잔다. 털실이 떨어져 더는 뜨개질을 못하는 나는 손이 근질거려서 망설이고 있다. 다시 책을 볼 것인가 실을 더 사서 뜨개질을 할 것인가.
누구나 그리워하는 풍경인데도 요즘은 그런 풍경이 보이지 않아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