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1.19 00:37

[국내 최다 수출 진주 수곡면]

단단하고 달콤한 딸기로 '대박'… 한국 딸기, 태국 시장 29% 점유
베트남선 2배 넘게 비싸도 불티… 관광객들, 딸기 농장 찾아 체험도
"안정적인 생활 가능" 소문에 청년들·대기업 퇴직자도 귀촌

지난 12일 찾아간 경남 진주 덕천강가엔 비닐하우스 4500여 동이 바둑판 모양으로 좍 펼쳐졌다. 하우스 문을 열자 달콤한 딸기 향이 흠뻑 밀려왔다. 이곳은 우리나라에서 딸기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마을, 수곡면(水谷面)이다.

주민 2400여 명이 사는 작은 시골 마을이지만 지난해 해외로 나간 딸기 10개 중 4개가 여기서 자랐다. 농가 550여 곳이 딸기 농사를 짓는데 그 중 수출만 하는 농가가 170여 곳이다. 지리산 자락이라 일교차가 크고 물이 깨끗해 딸기가 더 달다. 수출용 딸기는 11월부터 5월까지 수확하는데 지금이 딱 제철이다.

 

추운 겨울이지만 경남 진주 수곡면의 딸기 수출 농가는 요즘이 제일 신나고 바쁘다. 30년 넘게 딸기를 키웠다는 수곡면 주민 이복순(오른쪽)·유수미(가운데)·황다금(왼쪽)씨가 아침 일찍 딴 수출용 딸기를 들어 보이고 있다.
추운 겨울이지만 경남 진주 수곡면의 딸기 수출 농가는 요즘이 제일 신나고 바쁘다. 30년 넘게 딸기를 키웠다는 수곡면 주민 이복순(오른쪽)·유수미(가운데)·황다금(왼쪽)씨가 아침 일찍 딴 수출용 딸기를 들어 보이고 있다. /진주=최종석 기자

문수호(55) 수곡덕천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오늘 아침에 딴 딸기가 내일이면 비행기를 타고 동남아 마트에 깔린다"며 "작은 시골 동네지만 삼성 반도체 단지 같은 수출 전진 기지"라고 말했다.

농가당 매출 1억…대기업 퇴직자도 귀촌

원래 일본에 딸기를 수출하던 진주 지역 딸기 농가들은 2000년대 들어 동남아 쪽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일본 수출이 갈수록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더운 동남아 수출이 쉽지는 않았다. 수출 과정에서 딸기가 물러 돈을 물어주는 일이 다반사였다. 시행착오 끝에 육질이 단단한 '매향' 딸기가 수출용 전략 품종으로 낙점됐다. 매향 딸기는 국내 시장에 팔리는 '설향' 딸기와 달리 일주일씩 두고 먹을 수 있다. 원래는 환경에 민감한 품종으로 키우기가 어려워 기르는 농가가 거의 없었는데 진주에서 보배가 됐다.

최근 '딸기 한류'가 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로 확산되면서 수곡면 딸기 농가의 연평균 매출은 1억원에 이른다. 5억~6억원어치씩 수출하는 집도 있다. 가업을 잇겠다는 청년도 하나 둘 생기기 시작했다. 문수호 대표는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소문이 나면서 대기업 퇴직자, 전직 학원장도 찾아온다"고 했다.

한국 딸기 향에 빠진 동남아

지난해 우리나라 딸기 수출액은 4299만달러(약 460억원)로 1년 전보다 33% 늘었다. 특히 태국과 베트남으로의 수출이 각각 42%, 134% 늘면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태국선 밸런타인데이 선물로 인기 - 작년 2월 밸런타인데이 날, 태국 방콕의 쇼핑몰에서 열린 딸기 축제 현장에서 태국인 직원들이 한국 딸기를 소개하고 있다.
태국선 밸런타인데이 선물로 인기 - 작년 2월 밸런타인데이 날, 태국 방콕의 쇼핑몰에서 열린 딸기 축제 현장에서 태국인 직원들이 한국 딸기를 소개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무더운 동남아는 일부 고산 지역에서 딸기가 나긴 하지만 단맛이 없어 대부분 미국산을 수입해 먹는다. 하지만 미국산도 신맛이 강해 시럽에 찍어 먹거나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다. 수곡면 주민들이 그 딸기 시장을 뚫고 들어간 것이다.

베트남에서 점포 13곳을 운영 중인 롯데마트는 지난해 한국산 딸기를 500t 갖다 팔았다. 베트남 사업부 윤병수 팀장은 "작년 3월에는 일주일치 생각하고 1t을 가져갔는데 호찌민시 4개 매장에서 3일 만에 동났다"며 "요즘은 매주 2번씩 비행기로 실어 나른다"고 했다. 그는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 딸기의 달콤한 향을 너무 좋아한다"며 "한류 드라마에서 딸기 먹는 장면을 보고 사러 온 사람도 많다"고 했다. 한국 딸기가 베트남산보다 2배 넘게 비싸지만 개의치 않는다고 한다.

태국에서 한국 딸기는 시장점유율이 이미 29%(2016년 기준)다. 1위 미국산(30%)을 추월할 기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양재성 방콕사무소장은 "동남아 지역의 대표 항공사인 에어아시아가 지난해 한국행 항공편을 늘리면서 인터넷 광고를 했는데 한국산 딸기 사진을 크게 내걸 정도로 대표 상품이 됐다"고 했다. 태국에선 빨간색 딸기가 밸런타인데이 선물로도 인기를 얻고 있다. 2월 둘째 주 매출이 다른 시기보다 두드러지게 많다. 이때는 하트 모양 포장도 나온다.

동남아에 딸기를 수출하고 있는 오성진 엘림무역 대표는 "한 달에 30만원 버는 근로자가 1만원짜리 딸기 한 팩을 사 먹더라"며 "우리가 1980년대 바나나를 먹는 것과 비슷한 풍경"이라고 했다.

최근 부쩍 늘어난 동남아 관광객도 '셀프 홍보대사'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한국을 찾은 태국과 베트남 관광객은 각각 44만명, 30만명이었다. 베트남 관광객은 1년 전보다 29% 늘었다.

이들이 최고로 꼽은 우리나라 명소는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딸기 농장이라고 한다. 주로 스키장, 남이섬 등과 함께 찾는다. 경기 양평에서 딸기 농장을 운영하는 김기춘씨는 "딸기 철인 요즘엔 매주 2~3팀이 찾아오는데 손님이 몰려 돌려보낼 때도 있다"며 "매출의 90%를 동남아 관광객들이 올려준다"고 했다. 본고장 딸기 맛을 본 이들은 돌아가서도 큰손 역할을 한다.

 

 

조선일보 조선닷컴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