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여성은 같은 나이 남성보다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이 크게 늘어난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혈관벽에 쌓여 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LDL콜레스테롤을 제거해 '혈관 청소부'라고 불리는 HDL콜레스테롤은 혈액 내 많을수록 좋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은 여성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남성 40㎎/㎗이상, 여성 50㎎/㎗이상이면 정상이고 이보다 낮으면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이라고 진단한다.
2016년 건강검진 통계 연보에 따르면 대사증후군 검진을 받은 1500만명을 분석한 결과,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 진단율은 50대 남성의 경우 19.5%였지만 여성은 28.7%로 9%p 높았다. 60대는 남성 22.9%, 여성 41.4%였고, 70대는 남성 25.7%, 여성 48.1%, 80대 이상은 남성 26%, 여성 50.4%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성의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이 남성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반면에 복부비만, 높은 혈압, 높은 혈당, 고중성지방혈증 등 다른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다. 연세조홍근내과 조홍근 원장(전 연세대 노화과학연구소 교수)은 "여성은 폐경 이후에 여성호르몬이 줄어들면서 체내 중성지방이 크게 늘어난다"며 "중성지방은 HDL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성질이 있는데, 이 성질이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같은 나이의 남성보다 강하게 나타나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이 급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원장은 또한 폐경 후에는 HDL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간의 지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해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현재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약은 없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은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체내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야 한다. 일주일에 150분 이상 노래를 부르기 힘들 정도의 강도로 유산소운동을 해야 하고, 고칼로리·고탄수화물·고지방 식사는 피해야 한다. 과당도 섭취하면 간에서 바로 중성지방으로 전환되므로 과잉 섭취를 조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