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인 김모(55)씨는 최근에 있었던 일만 생각하면 아찔해진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아서 그저 별일 아니려니 하고 넘겼는데, 어느 순간 갑자기 배가 아프고 식은땀이 났다. 거의 실신 직전일 때 아내가 발견해서 응급실에 갔더니 담당 의사는 '급성 요폐'라고 진단했다. 담당 의사는 날씨가 추워지면 급성요폐 환자가 늘어난다면서, 특히 전립선비대증을 앓고 있다면 각별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노년층은 날씨가 추워지면 비뇨기과 질환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기온이 떨어지면 갑작스럽게 소변을 누지 못하는 '급성요폐'를 주의해야 한다. 급성요폐는 소변을 보려고 해도 요도가 막혀 소변을 볼 수 없는 상태다. 보통 남성의 방광은 400~500cc의 소변을 담는데, 요도가 막히는 요폐가 오면 부풀어 올라 2100cc까지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방광 크기가 정상보다 3배이상 부풀면 아랫배가 풍선처럼 부풀면서 심한 복부 통증을 느끼고, 식은땀을 흘리며 기절하기도 한다. 그래서 대한비뇨기과학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22개 비뇨기과 수련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비뇨기과 환자 3464명 가운데 8.05%가 급성요폐 환자였다. 급성요폐를 제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방광염·전립선염·신우신염 등 요로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만성요폐로 진행되면 방광 수축력이 떨어져 치료 후에도 스스로 소변을 보지 못할 수 있으며 심하면 만성콩팥병으로 악화된다.
◇전립선비대증 앓으면 생기기 쉬워
급성요폐는 주로 중장년 이후 남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환자 대부분은 전립선비대증을 앓고 있다. 실제로 대한비뇨기과학회 자료에 따르면, 남성 급성요폐 환자의 70% 가량이 전립선비대증을 앓고 있었다. 또한 급성요폐는 남성이 83.8%(234명)로 여성보다 훨씬 많다.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 크기가 정상보다 커지는 질환이다. 커진 전립선이 요도를 압박하면 소변 횟수가 평상시보다 증가하거나, 자는 도중에 깨 화장실을 가거나,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등의 증상이 생긴다. 특히 기온이 내려가면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요도가 제대로 이완되지 않아 갑작스럽게 급성요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감기약·과음 주의해야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감기약을 복용했을 때 급성요폐 발생 확률이 높다. 특히 감기약에 든 항히스타민제와 교감신경흥분제는 소변이 나오는 방광 입구와 전립선을 둘러싼 요도 평활근을 수축시켜 급성요폐를 일으킬 수 있다. 과음도 급성요폐의 원인이다. 술을 마시느라 한꺼번에 많은 양의 수분이 몸으로 들어오지만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방광에 차는 소변량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전립선암이나 요도 협착 등이 원인이 돼 급성요폐가 일어나기도 하고, 복용하던 전립선비대증 약물을 중단한 경우나 변비, 당뇨, 수술, 음주, 통증, 특정 약물 등이 급성요폐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여성은 방광염, 과음, 출산, 수술 등이 급성요폐의 원인이다.
◇전립선비대증 치료로 급성요폐 예방 가능
급성요폐를 예방하려면 우선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해야 한다. 전립선비대증의 약 80%는 약으로 치료한다. 보다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때는 의사 판단에 따라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이나 레이저 수술 같은 수술요법을 시행한다. 전립선비대증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악화되는 질환이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예방과 관리, 치료를 해야 한다. 따라서 50대부터 전립선 크기와 상태를 정확하게 검진하고 관리해야 한다. 평소 다양한 채소를 골고루 섭취하고, 빨간색 육류의 섭취를 가급적 줄이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전립선비대증의 예방과 관리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