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사단이 밝힌 '남북 3·5 합의']
4월 말 남측 평화의 집서 개최… 정상간 핫라인 설치해 곧 통화
"김정은, 韓美 훈련 이해… 대화 기간엔 핵실험 안하기로"
트럼프 "진전, 거짓 희망일수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오는 4월 말 판문점 남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제3차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6일 밝혔다. 대북 특사단을 이끌고 이틀 동안 방북했던 정 실장은 5일 밤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 이런 내용에 합의한 뒤 이날 오후 귀국했다.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6·25 이후 처음으로 '김씨 왕조' 후계자가 군사분계선 넘어 남쪽 땅을 밟게 된다.
정 실장은 청와대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3·5 합의'를 밝히면서 "남과 북은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고 제3차 남북 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키로 했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비핵화와 관련해 "북측은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하였다"면서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 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했다"고 말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비핵화는 선대의 유훈이며, 이 유훈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고 정 실장이 전했다. 김 위원장은 한·미 훈련에 대해서도 "4월에 예전 수준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한다"며 반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정 실장은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체제 보장과 군사 위협 중단은 북한이 그동안 핵 개발의 명분으로 삼으면서 미국과 대화 조건으로 내세워 온 사안이다. 이와 관련 정 실장은 "대화가 지속되는 동안 북측은 추가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등 전략 도발을 재개하는 일은 없을 것임을 명확히 했다"며 "북측은 핵무기는 물론 재래식 무기를 남측을 향해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3·5 합의'를 보고받은 뒤 "합의를 차질 없이 이행하도록 노력하라"고 지시했다. 정 실장은 남북 간 합의를 설명하기 위해 서훈 국정원장과 이번 주말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정 실장은 "미국에 전할 입장을 별도로 갖고 있으며, 미·북 대화를 시작할 여건이 조성됐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북한은 한·미 훈련 중단이나 미국 전략자산 배치 반대를 조건으로 하는 비핵화 대화 의사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합의 발표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에 "북한과의 대화에서 진전이 있었던 것 같다"며 "거짓된 희망일 수도 있지만 미국은 어느 방향으로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