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3.20 21:46

[펠드스타인 하버드대 석좌 교수]

"올해 금리 3~4번 올릴 가능성… 美 가계자산 10조달러 사라질 것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의 타깃 한국·유럽 아닌 중국… 기술유출 막으려 무역정책 사용"

펠드스타인 하버드대 석좌 교수
/블룸버그
미국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여파로 1~2년 단기 불황이 올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마틴 펠드스타인〈사진〉 하버드대 석좌 교수는 20일 서울 종로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계경제연구원 주최 강연에서 "미국 경제의 취약한 부분은 자산 가격 거품"이라며 "자산 가격이 정상화되면 가계 자산이 10조달러(1경723조원) 축소될 것"이라고 했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과거 레이건 행정부 시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의장, 오바마 행정부에서 대통령 경제회복자문위원회 위원을 지낸 미국의 대표적 재정학자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0년간 초(超)저금리를 유지해 자산에 거품이 생겼다고 본다. 미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이 과거보다 70% 높다는 것이다. 그는 "연준이 3년 전부터 금리를 올렸으면 자산 가격이 이렇게 부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앞으로 미 경제가 '금리 상승→주식 시장 조정→가계 자산 축소→소비 지출 감소→단기 불황'의 경로를 걸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미 연준이 올해 금리를 3~4번 인상할 것으로 본다"며 "1회 인상 폭이 25bp(1bp=0.01%포인트)가 아니라 35bp에 이를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단기 금리뿐 아니라 장기 금리도 덩달아 오를 것이라고 봤다. 미국 정부가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한 국채 발행을 늘리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 상승 압력은 세지기 때문이다. 실제 10년간 35%에서 75%로 치솟은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은 2020년 100%에 달할 전망이다.

펠드스타인 교수는 "금리가 계속 오르면 과대 평가된 주식 투자의 비율이 줄어들 것"이라며 "주식시장 PER이 정상화된다면 가계 자산 10조달러가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또 연쇄적으로 소비지출이 GDP 대비 2% 정도 하락하고, 1~2년 동안 단기 불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세제 개혁안은 해외 자금을 미국으로 끌어들일 것이라고 봤다. 법인세율을 선진국 최고 수준인 35%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1%로 낮춘 데다, 미국 기업 해외 자회사가 미 본토로 수익을 가져올 시 한 번 더 과세하던 '이중과세'를 없앴다는 것이다. 기업의 미 본토 투자가 늘어나고, 해외 자회사가 현지에 쌓아놨던 수익 약 3조달러도 미국으로 유입될 유인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그는 "자본이 미국으로 이전되면 GDP와 실질 임금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타깃은 한국·유럽이 아닌, 중국이라고 했다. 미국 기업의 핵심 기술이 중국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무역 정책을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일반적인 정치인과 달리 과격하고 이상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며 "그의 말보다 행동과 정책을 주시하라"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조선닷컴

시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