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에 뛰어들었다. 기존 반도체 대신 AI에 최적화된 전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을 비롯해 아마존·구글·애플 등도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돈과 인력을 쏟아붓고 있다. 글로벌 IT(정보기술) 공룡들이 AI 반도체 개발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 것은 기존 반도체 기술로는 AI 기능을 원하는 만큼 구현하기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게다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일부 업체가 독과점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과 달리 AI 반도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선점하면 막대한 이익도 기대할 수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AI 반도체는 클라우드(가상 저장 공간)부터 자율주행차까지 수많은 분야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치열한 경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中·美 대표 IT 기업 일제히 AI 반도체 시장 출사표
20일(현지 시각) 미국 CNBC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알리바바가 중국 반도체 설계 기업 C-스카이 마이크로시스템을 인수하고 AI 반도체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알리바바는 내부 연구소인 '달마원'에서 연구해온 AI 반도체 '알리 NPU(신경망 반도체)'의 성능을 향상하고, 반도체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C-스카이 마이크로시스템을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가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설립한 달마원에 3년간 150억달러(약 16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중국 인민일보 온라인판은 "알리바바의 알리 NPU에는 이미지와 영상을 식별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스스로 찾아내는 기술이 적용됐다"면서 "현재 상용화돼 있는 반도체보다 처리 능력이 최소한 10배 빠르고 제조 원가도 훨씬 저렴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들은 알리바바의 이번 인수가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통신기기 제조업체인 ZTE가 미국 당국의 제재를 받자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 생산 계획을 앞당겨 실행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 펀드인 중국 국가집적회로 산업투자펀드가 기업들의 반도체 개발 지원액을 크게 늘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리콘밸리에서도 AI 반도체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페이스북은 지난 18일 자사 구인 사이트에 "반도체 개발 조직을 신설하기 위해 전문가를 찾고 있다"고 올렸다. 페이스북은 지금까지 자사 클라우드와 VR(가상현실) 기기 오큘러스 등에 미국 인텔과 퀄컴의 반도체를 사용해 왔지만 자체 AI 반도체 개발에 나선 것이다. 앞서 구글은 2016년부터 AI 반도체를 자체 개발해 검색·이메일 등의 서비스에 사용하고 있고, 애플도 2020년부터 자사 컴퓨터에 자체 AI 반도체를 탑재한다고 밝혔다.
인터넷·전자상거래·소셜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IT 기업이 AI 반도체 개발에 뛰어드는 것은 자사의 AI 서비스에 특화된 반도체를 직접 개발하기 위해서다. AI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알리바바나 아마존 같은 기업들은 AI 서비스에 필수적인 방대한 데이터를 이미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반도체 제조사들보다 AI 반도체 테스트와 기술 개발에서 유리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파운드리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 될 듯
글로벌 IT 기업들의 AI 반도체 개발 경쟁은 대만 TSMC, 미국 글로벌 파운드리, 한국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파운드리(foundry·반도체 위탁생산)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이다. 반도체 생산 라인을 한 개를 짓는 데 100억달러(약 10조7000억원) 가까운 비용이 드는 데다 공정 효율화에도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생산은 기존 파운드리 업체에 맡길 수밖에 없다. 반면 퀄컴·ARM과 인텔 등 반도체 개발 분야의 기존 강자들은 막강한 자금 동원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구글·알리바바 등 새로운 도전자의 등장으로 힘겨운 경쟁을 벌이게 됐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지난해 569억달러(약 61조원)였던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이 2022년 766억달러(약 82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IT 공룡들이 AI 반도체 개발에 뛰어들면서 파운드리 시장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AI 반도체
이미지 인식·음성 인식·동영상 분석 등 다양한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반도체.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위탁 생산 기업. 설계 전문 업체가 개발한 반도체를 위탁 받아 생산한다. 대만 TSMC가 세계 1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