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차 대중화'를 위해 민간 기업들과 손잡고 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정부는 수소 충전소를 2022년까지 310곳 갖춰 수소차 1만5000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지난 1월 세웠다. SPC는 첫 이행 작업인 셈이다. 정부는 또 내년부터 수소 버스를 정규 노선에 투입하고, 다음 달부터 울산에서 수소 버스를 시범 운행한다고 밝혔다. 수소차는 전기차와 함께 친환경 미래 자동차로 부상하고 있지만, 충전소가 전국 12곳에 불과해 보급량이 190대(작년 말)에 불과하다.
◇정부 "한국 수소차 경쟁력 최고… 올해 충전소 30곳 운영"
SPC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에는 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국토교통부·현대차·SK가스 등 18기관 대표들이 참석해, 올해 서울·부산·대전 등 시·도 곳에 10개소, 통행량이 많은 고속도로에 8개소를 구축해 현재 운영 중인 12곳을 포함하면 충전소를 총 30곳 구축하기로 했다.
지난달 현대차가 출시한 수소차 넥쏘가 영동고속도로 여주휴게소 내에 있는‘여주 수소충전소’에서 충전을 하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전국 12곳이 운영중이며 연말까지 30개로 늘어난다. /현대차
수소는 물을 분해하면 나오는 에너지원인 데다, 달리는 수소차는 도시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궁극의 친환경차'라고 한다. 충전 속도도 5분으로 짧고, 한 번 충전하면 600㎞ 이상 달릴 수 있다. 전기차는 급속 충전을 해도 20~30분 걸리고 주행 거리가 300㎞ 수준(2세대 전기차 기준)이다.
그러나 수소차는 충전소 설치 비용(1개소당 30억여 원)과 운영 비용(연 2억원)이 높아 민간이 운영을 꺼리고, 폭발 위험이 있다는 인식 때문에 인프라 구축이 어려웠다. 11월에 공식 설립되는 SPC는 여러 기업의 공동 투자를 통해 초기 투자 부담을 낮추고, 향후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안전성에 대한 인식 개선 활동도 벌인다. 박종원 산자부 자동차항공과장은 "대체로 '수소' 하면 '수소폭탄'을 떠올리는데, 수소차에 쓰이는 수소는 수소폭탄에 쓰이는 수소와는 전혀 다르고, 수소전기차는 LPG차보다 폭발 위험이 작다"며 "편견을 없애기 위한 캠페인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갈 길은 아직 멀어
이인호 산자부 차관은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차 기술을 갖추고 있다"며 "수소차 보급의 가장 큰 걸림돌인 수소 충전 인프라 문제를 해결해 수소차 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확실히 지켜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대표 자동차 기업인 현대차는 2013년 '투싼 ix'로 세계 최초 수소차 양산을 시작했다.
정부는 적정 수소 가격 체계를 마련하고 수소 유통 구조도 안정시킬 방침이다. 또 수소차 충전소 관련 설비 개발, 고가의 핵심 재료인 백금 대체 물질 개발 등 연구 개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지적한다. 일본은 한국보다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도요타는 지난 2014년 12월 '미라이'를 출시해 4000대 이상 팔았고, 작년 3월 수소차 버스를 선보였다. 일본 정부는 2020년 도쿄올림픽을 '수소 올림픽'이라 이름 짓고 수소 버스 50대를 투입할 예정이다. 미국과 독일차 업체들도 수소차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수익성'이다. 수소차는 개발·재료 비용이 많이 들어 차 업체가 수익을 내려면 규모의 경제가 실현돼야 한다. 아직은 차 업체들이 손해를 보면서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차를 출시하고 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박사는 "전기차는 2030년 전 세계에 2000만대 정도 보급될 것으로 전망되나 수소차는 2030년 100만대 수준으로 전망된다"며 "연구 개발을 통해 제조 비용을 낮추고, 충전소 확대로 보급을 늘리는 것이 수소차의 과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