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살면서 가끔 “우리는 삶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기 때문에 힘 드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복잡할 때는 단순화시켜 생각해 보는 것이 정답을 도출 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인생의 목적을 ‘성공’이나 ‘행복’으로 삼는다. ‘성공’의 사전적인 의미는 ‘목적하는 바를 이룸’이라고 간단히 정의되지만, 사람에 따라 그 기준이 달라 ‘성공’을 객관적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성공은 돈, 명예, 권력을 얻는 것이겠지만, 국가와 민족에 따라 그 나라의 문화와 가치관에 의해 달리 해석하기도 한다. 기독교 국가는 사랑을 실천하는 삶이 성공한 삶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법칙은 요즘 유행하는 아웃라이어라는 책에서 언급한 ‘일만 시간의 법칙’이나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과 같이 수 없이 많이 나와 있다.
나는 성공을 심리학적으로 쉽고 간단하게 정의를 내리고 싶다. 나의 영문명에 붙여 이를 ‘David Success Rule’이라고 이름을 붙인다. ‘David’는 성경에 나오는 ‘다윗’을 의미한다. 소인인 다윗이 거대한 체구의 골리앗을 이길 수 있던 비결은 바로 그만이 가진 장점, 비밀 병기 ‘돌팔매’에 있다. 내 영문명을 다윗처럼 하나의 특기를 갖고 장애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어야 삶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인간은 왜 행동하는가? 한 마디로 욕구 충족을 위해서다. 그러면 욕구 충족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한다. 욕구가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반드시 크든 작든 장애(Obstacle)나 문제(Problem)에 직면한다.
바로 이곳이 성공과 실패의 분기점이 된다. 즉, 문제나 장애를 극복하고 나아가면 성공에 이르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되돌아가면 실패하게 된다. 지속해서 장애나 문제를 극복해 나가는 삶을 살게 되면 그 사람은 성공의 길로 나아가고 반대의 경우 실패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따라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목표를 세워서 반드시 이를 달성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성공의 결과는 사람을 적극적이고 긍정적이고 낙천적으로 만들어 주나 실패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이며 심하면 염세주의적 사람으로 변화시킨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지속해서 목표를 달성하여 성공할 수 있을까?
첫째,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워 반드시 이를 달성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무리한 목표로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오히려 실패하기 때문이다.
둘째,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로 생각하고 도전하여야 한다. 필자는 다른 사람들이 안 된다든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들에 도전하여 성공한 많은 경험이 있다. 일단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문제는 풀리기 시작하는 것 같다.
셋째, 전투에서는 지더라도 전쟁에서는 지지 않도록 한다. 목표를 향해 나아갈 때 자그마한 실수나 실패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낙심하지 말고 이를 성공의 발판으로 삼아 나아가면 최종적으로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항상 멘토를 가까이 두고 생활하는 습관을 기른다. 인생은 가끔 항해에 비유된다. 등대나 나침반이 없으면 목표를 향해 바로 나아가기 힘들다. 삶 속에서도 나침판이 되는 멘토를 가까이하여 조언을 받는 방식으로 삶을 살면 우리는 항상 성공에 이르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반대로 장애물이나 문제점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실패의 경험을 쌓게 된다. 실패의 경험이 누적되면 그런 사람들은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염세주의적 사고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성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당면한 문제점이나 장애를 극복하는 습성을 키우는 것이 성공을 향한 첫 주춧돌이 되는 것이다.
마음과 몸이 많이 아픈 성공하고자 하는 수많은 사람의 삶이 본 성공 법칙으로 어둠과 실의의 나날에서 꿈과 희망의 삶으로 전환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간곡한 마음으로 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