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52호
- 공식명칭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 지정일 : 1962.12.20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 수량/면적 : 4동
- 시대 : 조선시대
- 주소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자리 잡은 해인사는 통일신라 애장왕 3년(802)에 지은 사찰로, 왕후의 병을 부처의 힘으로 치료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이며,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고도 부른다.
장경판전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8만여 장의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로, 해인사에 남아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다.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조선 세조 3년(1457)에 크게 다시 지었고 성종 19년(1488)에 학조대사가 왕실의 후원으로 다시 지어 ‘보안당’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산 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어 임진왜란에도 피해를 입지 않아 옛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광해군 14년(1622)과 인조 2년(1624)에 수리가 있었다.
앞면 15칸·옆면 2칸 크기의 두 건물을 나란히 배치하였는데, 남쪽 건물은 ‘수다라장’이라 하고 북쪽의 건물은 ‘법보전’이라 한다. 서쪽과 동쪽에는 앞면 2칸·옆면 1칸 규모의 작은 서고가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긴 네모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장경판을 보관하는 건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식 요소는 두지 않았으며, 통풍을 위하여 창의 크기를 남쪽과 북쪽을 서로 다르게 하고 각 칸마다 창을 내었다. 또한 안쪽 흙바닥 속에 숯과 횟가루, 소금을 모래와 함께 차례로 넣음으로써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자연의 조건을 이용하여 설계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점 등으로 인해 대장경판을 지금까지 잘 보존할 수 있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해인사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대장경판과 고려각판을 포함하여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문화재청]
국보(國寶) 속에 국보(國寶)를 보관하다
장경판전(藏經板殿)은 13세기에 만들어진 고려 대장경판 8만여 장을 보관하는 건물이다. 내부에 보관하는 팔만대장경판, 정식명칭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이 국보(제32호)이며 세계기록유산인데, 그를 보관하는 4동의 건물인 장경판전(藏經板殿)도 국보(제52호)이며 세계문화유산이다. 그뿐만 아니라 장경판전에는 국보 제206호고려목판과 보물 제734호 고려목판도 함께 보관하고 있으니, 그야말로 세계적인 보물창고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아쉽기는 장경판전 일대에 접근이 금지된 점이다. 즉, 얼마 전까지는 장경판전 내부로 들어가거나 열어 볼 수는 없었지만, 수다라장 중앙을 통과하여 가운데 마당을 지나가거나 살창을 통해 안을 들여다볼 수는 있었는데 2013년부터는 아예 가까이 갈 수가 없다. 밖에서 건물 모양만 바라보아야 한다. 궁금할뿐이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정한 장경판전의 가치
세계유산위원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은 오랜 역사와 내용의 완벽함, 고도로 정교한 인쇄술의 극치를 엿볼 수 있는 세계 불교경전 중 가장 중요하고 완벽한 경전이며, 장경판전은 대장경의 부식을 방지하고 온전한 보관을 위해 15세기경에 건축된 건축물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한 보존과학 소산물이라며 높이 평가한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정받은 장경판전의 가치를 다시 정리해보면 해인사 장경판전은 15세기 건축물로서 세계 유일의 대장경판 보관용 건물이며 보관용(유물 보호각) 목조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큰 건물의 하나로, 인류 역사상 중요한 문화적·사회적·예술적·과학적·기술적 발달 등을 대표하는 특징적인 유형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 건물의 건축기법은 조선 초기의 전통적인 목조건축 양식을 보이는데, 건물 자체의 아름다움은 물론 건물 배치와 규모의 적절성, 대장경판의 보존기능에 충실하게 설계되었다. 즉, 건물 내의 환기, 온습도 조절 등 자연 기상에 적응하도록 설계되어 500년간 깨끗하고 안전하게 경판을 보존했다.
해인사 장경판전 내의 대장경판은 초조대장경이 1232년 몽골침입으로 불타자 몽골군의 격퇴를 염원하며 제작한,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최고(最古)의 대장경이며 그 정확성과 우수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해인사 장경판전은 뛰어난 역사적 중요성과 의의를 지닌 이념·신앙·사건 등과 관련된 유산으로서, 세계의 불교국가 중 인도나 중국 등의 국가에서조차 보존하지 못한 불전(佛典)을 온전하게 보존하기 위해 거국적으로 시대를 이어 정성껏 보존한 사례이다. 해인사 장경판전에 봉안하고 있는 대장경판은 세계에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경판으로 한국 불교도들은 물론 세계의 불교도 및 학자들의 유명한 순례지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연구하고 지켜오고 있는 곳으로 기능하고 있다. 해인사 대장경판은 고려왕조의 대몽항쟁 과정에서 제작된 것으로서, 당시 고려인들의 역사와 애국심, 신앙심의 결정체이다.
내나라 문화유산 답사회 : https://band.us/@4560dap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