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장성의 필암서원은 호남에서 유일하게 문묘(文廟)에 배향된 18현 중 한 분인 하서 김인후 선생을 모신 곳으로 국가사적 제242호이자 세계유산 ‘조선의 서원 9곳’에 속하는 곳이다.
1590년(선조 23) 김인후의 문인 변성온(卞成溫) 등이 주도하여 기산리(岐山里)에 서원을 세웠는데,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1624년(인조 4) 복원되었으며 1662년(현종 3) '필암(筆巖)'으로 사액되었고 1672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786년에는 제자이자 사위이며 소쇄원 주인 양사보의 아들인 고암 양자징(梁子澂)을 추가 배향하였으며 이 서원에 소장된 문서들은 보물 587호로 일괄 지정되어 있는데 총 15책 65장의 필사본들로 고문서류이다. 이 자료들은 필암서원의 임원, 원생, 조선 후기 서원의 재정과 노비 소유, 서원의 운영사항과 지방관청 및 유림사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김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후지, 호는 하서(河西), 본관은 울산이다.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나 김안국의 제자로 수학하였으며, 후에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이 되어 이황과 함께 학문을 닦았다.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에 등용되었으며 명종이 즉위하고,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병을 이유로 장성에 돌아가 성리학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이황의 이기 일물설에 반대하며 이기는 혼합해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천문·지리·의약·산수·율력에 정통하였다. 저서에 《하서집》, 〈주역관상편〉 등이 있다.
정조는 "도학과 절의, 문장을 모두 갖추고 있는 사람은 오직 하서 한 사람뿐"이라고 칭송하였다. 인촌 김성수가 김인후(金麟厚)의 13대손이다.
하서 김인후는 인종의 세자 시절 스승이었는데 인종은 어진 성품과 뛰어난 학식을 갖춰 명군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1545년 즉위 8개월 만에 30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病死)하였고, 인종의 이복동생 명종이 보위에 올라 하서를 등용하려 했으나, 인종이 승하한 뒤 정치에 뜻을 접은 하서는 벼슬을 탐내지 않고 고향 장성에 칩거하며 후학 양성에만 매진하였다.
필암서원에는 하서와 세자 시절의 인종이 얼마나 막역한 사이였는지 보여주는 유물이 많다. 인종이 직접 그려 스승인 하서에게 줬다는 그림 묵죽도(墨竹圖)와 인종 승하 후 하서가 그를 ‘님’에 비유해 쓴 시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인종이 하사한 그림 ‘묵죽도(墨竹圖)’를 보관하기 위해 지은 경장각(敬藏閣) 건물 현판의 흘림체 글씨는 정조가 직접 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