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 삼아, 운동 삼아 아파트 앞 공원에 나갔다. 날은 춥고, 눈 내린 공원길에는 눈이 얼어버려서인지 운동 나온 사람들이 많지는 않았다. 마른 나뭇가지 사이로 지나가는 바람이나, 마른풀 사이로 지나가는 바람들이 쓸쓸하고 왠지 외로워 보인다. 어디선가 기타 소리가 들려왔다. ‘누구지?’ ‘이 추운데 공원에서 기타를 치다니.... ’
나도 모르게 걸음은 빨라져 소리 나는 쪽으로 걸었다. 높다란 축대 밑에서 한 남자가 기우는 저녁 햇살을 담뿍 받으며 기타를 치고 있었다. 청바지에 검정 티셔츠를 입고, 검은 다운잠바를 입은 남자가 치는 기타 소리가 저물녘 공원에 울려 퍼지고 있었다. 많이 보던 사람이다. 늘 공원에 나와 저 정자, 저 자리에서 악보까지 펴놓고 하모니카를 불던 남자다. 그런데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이 추운데 오늘은 기타를 치고 있다.
때아닌 기타 소리에 겨울 산책을 나왔던 사람들도 놀라 잠깐씩 걸음을 늦추었다 떠나곤 했다. 그 많던 비둘기나 직박구리들도 추위서인지 보이지 않는다. 공원 옆 도로에 서있는 신호등에 붉은빛이 들어왔다. 질주하던 자동차들도 순간 멈추고 기타 소리를 듣고 있다. 마법에 이끌리듯 나도 기타 선율을 따라 그 남자가 앉은 정자를 향해 걸어갔다.
기타의 애잔하게 선율이 공원 가득히 퍼져나가다 노을 지는 서쪽 하늘가에 올라 사라져 갔다. 가까이 다가가니 귀에 익은 멜로디가 찬바람을 타고 내 귀에 흘러 들어온다. 내가 좋아하는 ‘나, 그대에게 드리리’ 이장희의 노래 선율이다. 아스라한 곳에 있던 젊은 시절이 아름답게 다가온다, 그 시절 주변에는 통기타 치는 사람들이 많았다. 나는 음악에 관해서는 젬병이다. 그런데도 주변에 기타를 치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은, 그즈음 유행병처럼 대학생 사이에 통기타 치는 게 들불처럼 번진 탓도 있을 것이다.
천천히 남자가 앉아서 기타 치고 있는 정자를 최대한 넓게, 둥글게 천천히 걸었다. 어느덧 기타의 선율은 가수 김연자의 ‘아모르 파티’로 넘어가고 있었다. 혹시 방해될까 하여 곁눈질하며 멀찍이 지나가는 내 마음을 헤아려 보내는 선물인지도 모른다고 지레짐작으로 흐뭇해진다. 전주도 신이 나는데 무엇보다 좋은 건 가사가 입에 착착 감겨드는 노래라서 더 좋다.
‘산다는 게 다 그런 거지.
소설 같은 한 편의 얘기들을.........
모든 걸 잘할 순 없어.
오늘보다 나은 내일이면 돼.
인생은 지금이야. 아모르파티~~~’
치열하게 살아야 했던 지난날은 다 잊고 내일도 생각하지 말고 오늘은 춤을 추고 싶다. 지나가는 사람을 붙잡고, 덩실덩실 춤이라도 추고 싶은 마음이다.
‘아모르 파티(Amor fati)’는 라틴어이다. 철학자이자 시인이었던 니체의 대표적인 사상이다. 한 마디로 ‘네 운명을 사랑하라’라는 의미다. 그는 자신의 운명을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자신이 오랫동안 고뇌했던 삶에 대한 마지막 결론이라고 했다. 살면서 자기 뜻대로 다 산 사람이 어디 있으랴!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불안과 인간의 의지로 극복할 수 없는 필연적인 것까지도 다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그렇다고 삶을 내려놓고 포기하라는 게 아니다. 있는 그대로의 자기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라는 것이다. 오늘을 즐겁게 살라는 것이다. 그 심오한 철학을 김연자의 ‘아모르 파티(Amor fati)’가 이토록 쉽게 풀어냈으니 그저 감탄스러울 따름이다.
그 남자의 기타 연주는 신나게, 때로는 부드럽게 서서히, 내려앉는 어둠 사이의 바람 사이로 파고들었다. 공원에 들어설 때만 해도 사납게 할퀴던 바람이 한결 부드러워졌다. 부드러워진 바람 사이로 기타 소리는 끊어질 듯 끊어질 듯하다가 끊임없이 되살아나곤 했다. 서쪽 하늘가에 머물던 노을도 알겠다는 듯 긴 잔영을 남기며 사라져 갔다. 이 저녁, 삼라만상의 모두 것들이 조용히 삶에 순응해 가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