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안심종합정책 가동으로 156만 1인 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촘촘한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시 전체가구(409만 가구) 중 1인 가구는 38.2%(156만 가구)로, 매년 급속히 증가(2020년 34.9%→2021년 36.8%→2022년 38.2%)하고 있다.
이를 위해 1인가구의 정책 수요에 대응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차별화된 맞춤 정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으로 ▴생활안심, ▴고립안심, ▴안전안심의 3대 공적 지원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1인 가구의 일상에서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생활안심’ 지원사업을 내실화한다.
시행 2년 만에 누적 이용 3만 건에 육박할 정도로 호응이 높은 ‘병원 안심동행서비스’는 모바일 간편결제 등 결제방식을 다양화하고, 전화회신서비스(콜백서비스)를 도입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인다.
지난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된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는 직장인을 위해 토요일 시범운영을 실시한다. 93.5%의 높은 만족도를 보인 소셜 다이닝 ‘행복한 밥상‧건강한 밥상’은 100% 대면 운영과 요리교실 횟수 확대, 소통 프로그램 도입으로 식생활 개선 효과를 높이고 소통 기회를 확대한다.
아울러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 회복을 위한 ‘고립안심’ 지원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1인 가구를 위한 현장 지원기관인 25개 자치구 ‘1인가구지원센터’에서는 지난해 교육‧여가‧상담 프로그램 및 자조 모임을 운영하여 총 5만 2천여 명이 참여하였고, 올해는 1인 가구의 실외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숲 체험, 명소 투어 등을 신설하여 프로그램을 다양화한다.
마지막으로 1인 가구 등 범죄에 취약한 시민들을 위한 ‘안전안심’ 지원 서비스도 강화한다.
1인 가구 밀집 지역의 귀갓길 안전을 지켜주는 ‘안심마을보안관’은 거주지역의 치안 만족도가 22.3%p 증가하는 등 시민체감 효과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기존 16개 자치구에서 올해 25개 전 자치구로 활동 영역을 넓힌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1인 가구 ‘3대 안심’ 지원으로 혼자 살면서 느끼는 불편과 불만, 불안 해소를 통해 1인 가구가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서울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건강, 외로움, 안전 등 1인 가구의 고민과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맞춤형 지원 정책을 촘촘히 마련했다”라며, “서울시 1인 가구 누리집(1in.seoul.go.kr)을 통해 안내해 드리고 있으니 이를 꼭 기억하고 이용하시길 바란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