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5.09 16:16

영화 | 해어화(解語花)

“난 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지?”

영화 해어화의 소율(한효주)이 연희(천우희)에게 하는 대사이다.

그렇게 한반도의 근대사 이후에 남겨지는 전통의 정서와 가락이 모습을 감추고 있었다. 해어화라는 흔하지 않은 단어가 눈길을 끌었고 한반도의 근대화 시기가 영화의 배경이다. 해어화는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단순히 미모나 기교가 아닌 예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가치 있는 예인(藝人)으로 기생을 묘사하였다.

영화 | 해어화(解語花)

정소율 역을 맡은 한효주는 실제로 정가를 4개월이나 익혔으며 이연희 역의 천우희도 소율 과는 다른 창법의 노래를 구사하여 조선의 마음이라는 노래를 직접 작사하였다 한다. 윤우(유연석) 역시 영화의 내용 중 아리랑을 직접 연주할 만큼 음악적 재능을 지닌 배우이다.

경성의 마지막 남은 기생학교 대성권번에서 만난 이연희와 정소율은 친자매처럼 자라게 된다. 빼어난 미모와 탁월한 창법으로 최고의 예인으로 불리는 소율에게는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조선의 마음을 노래하게 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는 자유로운 영혼의 윤우는 그들이 동경하는 새로운 사조를 지닌 음악계열의 작곡가이다. 소율을 오래 가슴에 품고 있겠다고 맹세하던 윤우의 마음이 특이한 창법을 지닌 연희에게로 옮겨가고 이를 알게 된 소율은 그 시대 최고의 권력자인 경무국장 히라다 기요시에게 다가간다.

자존감으로 지켜내야 했던 예인(藝人)으로서의 가치관은 이미 소율에게 사라지고 없다. 영화는 소율이 부른 “사랑 거짓말, 사랑 거짓말이야”로 소율의 행동을 정당화하고 있었다. 사랑 앞에서 무너지는 우정의 모습이 허무하고 처절하기까지 한데 그것이 일제 식민지 강점기인 1943년이 배경이 되는 우리의 시대적인 사회상으로 남겨지는 자화상이다.

영화 | 해어화(解語花)

소율이 부르던 우리 전통의 가곡인 정가에 마음이 머물렀다. 일본의 노래인 유행가가 우리 일상생활에 익숙해지기 시작할 때 권번에서 기녀들이 배우는 노래는 우리 가락으로 부르는 전통의 가곡이다. 일본의 유행가처럼 단조가 아니어도 가곡이 지니고 있는 특유의 창법과 마음속에서 울려나오는 음성이 아니면 듣는 이의 마음에 다가가지 못하는 우리 노래가 지니고 있는 품격의 전통 음악이다.

고려시대부터 시작이 되는 가곡의 원류는 조선조에 이르러, 서구열강으로 말미암아 개방과 혼란에 빠지게 된 사회상에서 국문 시가의 핵심 갈래가 복잡한 전개양상으로 변화를 맞이한다. 언어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가사문학은 시가로서의 정형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결정적인 구실을 하는 시간적 순환성은 오랜 시간에 걸쳐 존재하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변모하여 그것이 지닌 형식의 파악이 쉽지 않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조선 전기 작품의 음수율은 3·4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후기 작품들은 음수율이 파괴되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이나 상당수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태는 4·4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기록문학으로 역사와 풍물 등의 의식을 지닌 생활풍속을 노래하는 문학으로 조선 후기의 사회변동에 따라 새로운 변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형태, 작가, 주제, 표현 등에서 여러 가지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작가층 역시 전기에는 사대부 중심에서 시조에는 기녀작가가 등장하였고 가사에는 승려작가가 활동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또한, 가사의 작가층에는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여성 작가들이 등장하여 스스로 즐기는 내방가사와 규방가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해어화에 나타나는 시대적인 배경에도 한복이 양장으로 바뀌고 기녀들의 쪽 머리가 서구스타일의 단발 형으로 변화가 되어가는 것처럼 가곡을 부르던 기녀가 유행가의 애조 띤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다.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단순한 배경의 모습이 아닌 한반도의 근대화 과정이 스며있다. 주인공들의 변화되는 삶의 모습에는 한반도 전체가 변화되는 근대화의 과정에서 이루어가는 갈등의 구조도 나타난다.

소율이 자존심을 지니고 지켜내야 했던 예인(藝人)으로서의 가치관은 사라졌고 그 무너진 가치관의 존재성으로 이루어가는 사회적 정서에 아직도 한반도는 신음하고 있다. 1990년대 소율의 변신은 사회적인 정서로 바라보는 모순의 모습이며 주인공들이 지니고 있는 내면의 정신세계를 숨어있는 우리의 변화되는 모습으로 받아들이면 그것은 내 사고가 지니고 있는 가치의 어떤 기준점을 넘어서고 있는 것일까.

가정(假定)이라는 설정을 대입시켜서 소율이 이연희가 지니고 있는 음색의 특성을 탐하지 않고 자신이 지닌 재능으로 한 생을 열정으로 이끌었다면 그는 21세기 대한민국의 정가 명인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남겨진다.

영화는 단순한 오락물로 바라볼 때 그저 잠시의 즐거움이지만 그것을 역사성과 사회성으로 접근하면 남겨지는 또 하나의 역사가 된다. 해어화가 지니고 있는 언어의 깊은 의미가 근대사의 그늘진 한 모습으로 투영된 좋은 작품 하나를 만났다는 생각으로 언젠가는 해어화라는 영화 한 편이 또 다른 문화의 역사로 남겨질 것이라는 가능성으로 남겨두기로 한다.


조선일보 조선닷컴

시니어